완도 전복 정보

본문 바로가기
완도 전복 정보

완도 전복 정보

개요

도입 가두리 양식방법은 2000년에 흑산도에서 기술이 개발된 후, 2,001년도부터 면허 처분과 함께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완도지역도 2000년부터 도입되었습니다. 가두리양식에 의한 전복이 출하되기 시작한 2003년부터 전복 생산량이 급증하였습니다.
  • 생산2,003년 이후 본격적인 양식생산이 이뤄졌으며, 생산량은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1994년 100여톤에 불과하던 생산량은 2009년 6,400톤으로 증가했습니다.
  • 주요산지완도지역에서 주요 생산되며, 이 지역 생산량이 국내 생산량의 8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양식 시설량도 전체(36만 5,227칸)의 80%(29만 3,183칸)가 동 기역에 분포합니다.
  • 양식해상 가두리식으로 주로 양식되며, 비만기는 2~7월까지이고 이후 산란기 때 비만도가 낮아져 9~10월경에 최저가 됩니다. 전복의 성장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북쪽지역에서는 각장이 7.5cm까지 성장하는데 5~7년이 걸리는데 반해 남쪽지역에서는 11cm로 성장하는데 4~6년이 걸립니다.
  • 출하전복은 성장속도에 따라 17단계로 구별되는데, 보통 1kg 단위를 기준으로 크기 별로 거래됩니다. 산지에서 출하된 전복은 중간 유통업자를 거쳐 도매ᆞ소매시장으로 판매되거나, 해외시장으로 수출됩니다.
  • 서식종우리나라에서 양식되는 전복은 ‘참전복’종으로, 학명은 Haliotis discus hannai lno입니다. 우리나라 동ᆞ서ᆞ남해안에 널리 분포 서식하고 있으며 산란기는 6~7월경입니다.

<세계 국가별 전복 생산현황>

(단위:톤, %)
구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비중
합계 25.863 33,701 36,378 40,091 46,936 55,504 100.0
중국 9,810 13,515 15,460 18,921 25,324 33,010 59.5
호주 5,192 5,838 5,984 5,517 5,470 5,320 9.6
한국 1,159 1,361 2,264 3,220 4,609 5,318 9.6
칠레 3,091 3,858 3,613 4,297 3,311 3,725 6.7
페루 670 2,906 3,531 2,359 2,543 2,757 5.0
일본 2,181 1,996 1,768 1,976 2,063 1,700 3.1
남아메리카 921 1,018 1,058 1,045 906 1,098 2.0
기타 5,941 6,223 5,526 5,777 5,679 5,374 9.7

자료 : FAO, 2008년 기준

- 2008년 기준, 전 세계 전복 생산량은 약 5만 6천 톤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중국이 전체 생산의
   60%를 차지하여 생산량이 가장 많습니다.
- 다음으로 호주가 10%, 한국 10%, 칠레 7%, 페루 5% 등의 순입니다.

<세계 국가별 전복 수출현황>

(단위:톤, %)
구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비중
합계 5,633 5,459 4,748 4,977 5,403 100.0
호주 2,556 2,626 2,625 2,674 2,536 46.9
뉴질랜드 758 788 721 762 880 16.3
태국 98 27 13 15 579 10.7
대만 943 450 470 458 398 7.4
한국 21 70 214 416 377 7.0
칠레 293 372 407 429 327 6.6
미국 216 215 169 157 154 2.9
일본 75 65 50 42 69 1.3
말레이시아 1 52 7 23 51 0.9
기타 672 794 72 1 2 0.0

자료 : FAO, 2007년 기준

- 2007년 기준, 전 세계 전복 수출량은 약 5천 4백톤 입니다. 이 가운데 호주가 전체 생산의
   47%를 차지하여 수출량이 가장 많습니다.
- 다음으로 뉴질랜드 16%, 태국 11%, 대만 7%, 한국 7% 등의 순입니다.

분포

  • 2월 수심 25m층의 수온이 12℃가 되는 등온선을 경계로 북쪽은 한류계(참전복), 남쪽은 난류계(말전복, 까막전복, 시볼트전복, 오분가지) 분포
    - 양식 수심 : 2~40m
    - 서식 수온 : 10~23℃(적수온 15~20℃)

습성

  • 외양성이고, 파도 양행이 많음 암초지대와 물이 맑고 해조류가 번무하는 곳에 많이 분포함
  • 대체로 특정한 곳에 집중하여 사는 경향이 강하고, 어두운 암반구조를 선호합니다.
  • 식성 : 초식성(미역, 다시마, 모자반류 등의 갈조류를 많이 섭취하고 그 외에 파래 등의 녹조류, 진두발 등의 홍조류를 섭취합니다.)
  • 산란기 : 한류계(7~11월), 난류계(9~익년 1월)
  • 먹이
    - 치패(5~6mm) : 부착성 규조류
    - 성패 : 미역, 파래등의 해조류
  • 먹이섭취(섭이)활동 : 수온의 영향을 매우 많이 받음
    - 수온 7℃이하와 25℃ 이상에서는 거의 절식 상태이며, 활동도 매우 둔함
    - 수온 15~20℃ 사이에서 수온이 높아지면 섭식율과 성장율도 증가함

사육시설

  • 해상가두리식 양식시설에 있어서 가두리 1칸의 크기는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는데, 완도, 진도, 해남지역은 2.4x2.4x2.5m 크기의 소형가두리가 대부분인 반면, 흑산도 지역은 2.4x4.8x2.5 크기의 중형가두리를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이는 전복양식용 가두리의 시설비 절감을 위해 어류양식용 가두리 구조를 일부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가두리의 시설방법시 유의사항으로는 조류의 흐름 방향과 일치하게 시설하여야 하고, 또한 가두리 조간 간격은 원활한 조류 소통을 위해 최소한 10m 이상이 필요합니다.

사육환경

  • 아래 그림은 진도, 완도, 흑산도지역의 2006년 7월 1일부터 2007년 6월 20일까지 전복의 양성에 있어 중요한 환경요인인 가두리 양식장의 사육수 수온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완도지역의 경우 사육수 수온 범위는 8.5~25.8℃로서 평균 16.1±5.2℃를 유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진도,완도, 흑산도 지역의 2006년 7월부터 2007년 6월까지 1년간 수온변화>
세계 국가별 전복 수출현황
지역 수온(℃) 전체 '06.7 '06.8 '06.9 '06.10 '06.11 '06.12
완도 범위 8.5~25.8 19.0~23.0 21.9~25.3 20.5~25.8 18.7~22.7 13.5~19.5 10.4~13.5
평균±편차 16.1±5.2 20.4±0.9 23.7±0.9 21.0±1.4 21.0±1.2 16.0±1.6 12.2±1.0
진도 범위 5.8~25.8 19.5~23.5 21.5~25.8 21.3~25.0 18.6~23.0 13.6~18.7 7.2~13.2
평균±편차 15.4±5.8 21.2±1.1 23.9±1.2 22.6±1.2 20.8±1.2 16.0±1.5 11.0±1.8
흑산도 범위 8.8~29.8 19.3~23.7 23.5~27.2 23.7~26.3 20.1~29.8 14.8~19.6 12.0~14.7
평균±편차 16.8±5.7 21.9±1.4 25.5±1.3 25.4±0.7 21.9±1.9 17.1±1.7 13.2±0.8
지역 수온(℃) '07.1 '07.2 '07.3 '07.4 '07.5 '07.6
완도 범위 8.5~11.0 8.7~10.7 9.0~11.4 10.6~13.6 13.5~17.5 17.0~19.6
평균±편차 9.5±0.7 9.6±0.6 10.1±0.8 12.3±0.9 15.7±1.2 18.5±0.6
진도 범위 6.8~11.0 5.8~9.0 6.5~10.3 8.5~13.0 12.7~16.7 15.4~19.7
평균±편차 8.4±0.9 7.6±0.9 8.4±0.9 11.1±1.1 4.6±1.2 18.1±0.9
흑산도 범위 9.1~11.9 8.9~10.0 8.8~10.4 10.0~12.1 11.2~15.4 15.5~17.3
평균±편차 10.4±0.9 9.5±0.3 9.7±0.3 10.8±0.7 13.3±1.3 16.3±0.5

먹이종류별 공급시기 및 공급량

  • 전복 먹이용 미역은 조기산의 경우 9월 중순경에 미역양식 시설을 하여 11월 중순경부터 생미역을 채취하여 전복의 먹이로 이용하고 있으며, 후기산 미역의 경우 10월 중순경에 미역 양식장을 시설하여 12월 초순부터 이듬해 3월 하순경 채취하여 전복의 먹이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 대규모 양식장의 경우 관리선에 탑재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가두리에 먹이를 공급합니다.
  • 조기산의 경우에는 9월 중순경 미역 양식장을 시설하기 때문에 9월 중순경 이후의 고수온, 청수 등 이상수괴 발생으로 인해 미역엽체의 유실 및 탈락으로 먹이공급이 불안정할 시에는 치패입식시기의 지연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 해상가두리 양식에 있어서 전복의 먹이로는 생미역, 생다시마를 주로 공급하나, 생먹이가 공급되지 않는 시기에는 염장 미역 및 다시마, 건다시마를 공급하며 공급주기는 7~10일 간격으로 1칸당 80㎏ 정도가 적합하나, 고수온기는 평상시와 동일하게 먹이를 공급한다면 먹지 않고 남는 먹이로 인해 조류소통이 억제되어 사육환경이 나빠짐으로써 전복의 성장이 느리고, 질병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평상시의 30% 정도로 줄여서 소량씩 자주 공급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전복치패용 먹이로는 미역이 다시마보다 먹이가치가 보다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연중 미역만을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다시마, 염장미역, 염장다시마, 건다시마 등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 적절한 먹이공급 방법으로는 한번 공급된 먹이는 부패가 되지 않을 정도의 양이 되도록 양식장내 먹이의 섭취량을 관찰한 후 적당량의 먹이를 공급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 전복의 단위 체중당 먹이섭식량은 성장 가능 수온 범위 내에서는 수온이 높을수록 각장이 작을수록 많고, 수온이 낮거나 각장이 클수록 적어집니다.

전복의 종류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전복의 종류는 2월에 수심 25m층의 수온 12°C가 되는 등온선을 기준으로 북쪽은 한류계전복인 참전복과 남쪽은 난류계 전복인 말전복, 시볼트전복, 까막전복, 오분자기 등 5종류입니다.

  • 참전복서식지는 우리나라 남부 수심 4~5cm이며 길이가 13cm 미만으로 그리 크게 자라지 않는다. 그리고 7cm정도 자라자면 4~5년이나 걸린다.
  • 말전복말전복은 우리나라의 제주도 수심 10~20m의 암벽에서 주로 서식하며 길이가 10cm, 너비가 10cm, 무게가 400g이나 되는 것이 보통이며, 때로는 무게가 1kg이나 되는 것도 있다. 성장도 7cm정도 자라는데 2~2.5년 밖에 걸리지 않는다.
  • 오분자기오분자기는 전복의 일종이라고 하지만 아무리 큰 것이라도 길이가 7~8cm를 넘지 못하는 성장의 한계로 인해 전복보다 작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 전복과는 구별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